플렛폼이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105회 작성일 19-03-04 16:22본문
위키백과
컴퓨팅 플랫폼(영어: computing platform)은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응용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의 종류를 설명하는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플랫폼은 컴퓨터의 아키텍처, 운영 체제(OS), 프로그램 언어, 그리고 관련 런타임 라이브러리 또는 GUI를 포함한다.
플랫폼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다. 플랫폼은 하나의 운영 체제 또는 컴퓨터 아키텍처라고 단순히 말할 수 있으며 그 두 가지를 통칭해서 말할 수도 있다.
대중에게 가장 친근한 플랫폼은 x86 아키텍처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다. 잘 알려진 다른 데스크톱 컴퓨터 플랫폼들은 리눅스와 OS X을 포함한다. 그러나 휴대 전화와 같은 많은 장치들은 효과적으로 컴퓨터 플랫폼이라고도 하지만 보통 그렇게 불리진 않는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플랫폼에 특화된 하드웨어나 운영 체제, 아니면 가상 머신의 기능들에 맞추기 위해 프로그래밍된다. 자바 플랫폼은 가상 기기 플랫폼으로 여러 운영 체제와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며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플랫폼의 한 종류이다.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개발 중에서도 핵심적이고도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다. 플랫폼을 간략히 정의해 보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다른 어떤 플랫폼 위에서 자신의 로직 코드가 돌아가건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약속하는 하나의 계약이기도 하다. 로직 코드란 바이트 코드, 소스 코드 그리고 기계 코드도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행이 특정 운영 체제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언어 독립적으로, 기계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그냥 엄청 포괄적이라고 보면 된다. 그냥 막 갔다 쓴다.
플랫폼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의 저자는
플랫폼은 하나의 시장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과 같다고 했다.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시키고 그 안에서 거래를 일으키는 곳.
유튜브를 보는 시청자는 수요자고
유튜버는 공급자.
유튜브는 플랫폼.
애플의 아이튠스는 음악 저작권자와 사용자를 연결시켜주는 플랫폼.
뭔가 요청할 때 플랫폼을 개발하고 싶다고 하면 듣는 입장에선 뭘 원하는지 감도 안잡힐 수 있다.
플랫폼이란게 일단 너무 광범위합니다.
Windows, Linux, MacOS등 OS도 플랫폼이고
구글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아이튠스도 플랫폼이고
그 외에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인 식으로 플랫폼이란 단어를 쓰기 때문이다.
컴퓨팅 플랫폼(영어: computing platform)은 소프트웨어가 구동 가능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응용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포함하는)의 종류를 설명하는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플랫폼은 컴퓨터의 아키텍처, 운영 체제(OS), 프로그램 언어, 그리고 관련 런타임 라이브러리 또는 GUI를 포함한다.
플랫폼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해 쓰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이다. 플랫폼은 하나의 운영 체제 또는 컴퓨터 아키텍처라고 단순히 말할 수 있으며 그 두 가지를 통칭해서 말할 수도 있다.
대중에게 가장 친근한 플랫폼은 x86 아키텍처에서 수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다. 잘 알려진 다른 데스크톱 컴퓨터 플랫폼들은 리눅스와 OS X을 포함한다. 그러나 휴대 전화와 같은 많은 장치들은 효과적으로 컴퓨터 플랫폼이라고도 하지만 보통 그렇게 불리진 않는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플랫폼에 특화된 하드웨어나 운영 체제, 아니면 가상 머신의 기능들에 맞추기 위해 프로그래밍된다. 자바 플랫폼은 가상 기기 플랫폼으로 여러 운영 체제와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며 소프트웨어가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플랫폼의 한 종류이다.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개발 중에서도 핵심적이고도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다. 플랫폼을 간략히 정의해 보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다른 어떤 플랫폼 위에서 자신의 로직 코드가 돌아가건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약속하는 하나의 계약이기도 하다. 로직 코드란 바이트 코드, 소스 코드 그리고 기계 코드도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행이 특정 운영 체제에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언어 독립적으로, 기계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그냥 엄청 포괄적이라고 보면 된다. 그냥 막 갔다 쓴다.
플랫폼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의 저자는
플랫폼은 하나의 시장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과 같다고 했다.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시키고 그 안에서 거래를 일으키는 곳.
유튜브를 보는 시청자는 수요자고
유튜버는 공급자.
유튜브는 플랫폼.
애플의 아이튠스는 음악 저작권자와 사용자를 연결시켜주는 플랫폼.
뭔가 요청할 때 플랫폼을 개발하고 싶다고 하면 듣는 입장에선 뭘 원하는지 감도 안잡힐 수 있다.
플랫폼이란게 일단 너무 광범위합니다.
Windows, Linux, MacOS등 OS도 플랫폼이고
구글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아이튠스도 플랫폼이고
그 외에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인 식으로 플랫폼이란 단어를 쓰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